← 돌아가기

제주 서비스 마켓플레이스 데모 분석 보고서

작성자: 김단을 (Daneul Kim), 김유영 (Yuyeong Kim)

작성일: 2025년 10월 13일

프로젝트: 제주도 서비스 마켓플레이스 플랫폼 (데모 버전)

데모 URL: https://carpedkm.github.io/application.html


요약

본 보고서는 제주도에 특화된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인 제주 서비스 마켓플레이스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제시한다. 본 플랫폼은 관광 산업이 중심인 제주도의 독특한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서비스 제공자와 고객을 연결하며, 특히 외지 거주 펜션 오너를 위한 관리 서비스에 중점을 둔다.

주요 특징:


1. 프로젝트 배경 및 목표

1.1 배경

제주도는 서비스 마켓플레이스에서 독특한 도전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1.2 목표

  1. 효율적인 연결 - 제주의 독특한 시장에서 서비스 제공자와 고객을 효율적으로 연결한다
  2. 관리 부담 경감 - 외지 거주 펜션 오너의 관리 부담을 줄인다
  3. 날씨 인식 - 날씨를 고려한 서비스 추천을 제공한다
  4. 가격 투명성 - 제주 특유의 비용(교통비, 계절 할증)을 반영한 투명한 가격을 제시한다
  5. 신뢰 구축 - 검증 배지와 리뷰 시스템을 통해 신뢰를 형성한다
  6. 지역 경제 지원 - 제주 거주 서비스 제공자를 우선적으로 지원한다

2. 시장 분석

2.1 타겟 시장

주요 타겟: 펜션/숙박시설 오너

부차 타겟: 지역 주민 및 사업체

제3 타겟: 관광객 및 임시 거주자

2.2 경쟁 환경

플랫폼 커버리지 제주 집중도 주요 약점
숨고 (Soomgo) 전국 제한적 범용적, 날씨/지역 기능 없음, 펜션 패키지 없음
당근마켓 지역 커뮤니티 일반적 P2P만 가능, 전문 인증 없음
네이버 지역 서비스 전국 최소 기업 중심, 비싼 가격, 제주 맞춤화 없음
제주 서비스 마켓플레이스 (본 플랫폼) 제주 전용 100% 제주 특화 데모 단계 (프로덕션 미준비)

경쟁 우위:

  1. 날씨 연동 서비스 추천을 제공하는 유일한 플랫폼
  2. 펜션 관리 패키지를 제공하는 유일한 플랫폼
  3. ✅ 상세한 지역 필터링 (범용적 "제주" 대신 9개 읍면동 구역)
  4. 투명한 가격 - 교통비, 계절 요금, 긴급 할증 표시
  5. 10개 제주 전용 카테고리 (감귤농가, 해산물, 렌터카 관리 등)

3. 제주 특화 차별화 전략

3.1 날씨 연동

문제점: 제주의 날씨가 서비스 실행 가능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솔루션: 실시간 날씨 위젯 + 서비스 추천

현재 표시:
☀️ 18°C, 맑음, 바람 5m/s → ✅ "야외 작업 좋음 (예초, 철거, 사진촬영)"
🌧️ 15°C, 비, 바람 12m/s → ❌ "실내 서비스 권장 (청소, 수리, 시스템 설치)"

향후 개선: 기상청 API 연동을 통한 실시간 데이터 제공

3.2 지역 필터링 시스템

문제점: 범용적 "제주" 위치는 너무 광범위하다 (섬의 폭이 73km)

솔루션: 9개의 상세 지역 구역

  1. 제주시
  2. 서귀포시
  3. 애월읍 - 서부 해안 지역
  4. 한림읍 - 북서부 지역
  5. 성산읍 - 동쪽 끝 (일출봉 지역)
  6. 구좌읍 - 동부 해안 지역
  7. 중문/색달동 - 남부 관광 지역
  8. 제주 전역

각 리스팅 표시 항목:

3.3 신뢰 및 검증 시스템

문제점: 서비스 품질 우려, 특히 부재 오너의 경우

솔루션: 다단계 검증 배지 시스템

배지 유형:

  1. ✓ 제주 거주 인증
  2. ⚡ 긴급 대응 가능
  3. 경력 배지
  4. ★★★★★ 평점

3.4 투명한 가격 구조

문제점: 숨겨진 비용이 고객을 좌절시킨다 (특히 섬에서의 교통비)

솔루션: 완전 항목별 가격 표시

예시 리스팅 가격:
₩50,000/시간 (기본 요금)
+ 교통비: ₩10,000 (시내 무료, 외곽 ₩10,000)
+ 계절: 성수기(7-8월) +20%
+ 긴급: 당일 요청 +30%
─────────────────────
총계: ₩50,000-₩78,000 (위치/타이밍에 따라)

가격 투명성 기능:


4. 서비스 카테고리

4.1 범용 카테고리 (5개)

  1. 예초 (잔디/정원 관리) - 4개 리스팅
  2. 청소 - 3개 리스팅
  3. 장비대여 - 1개 리스팅
  4. 펜션/리조트 관리 - 1개 리스팅
  5. 긴급 수리 - 3개 리스팅

4.2 제주 특화 카테고리 (10개)

🍊 감귤농가 지원

🌊 해산물/어업

🚗 렌터카 관리

🐴 축산/승마

🏗️ 폐가 철거

📦 공항/항구 배송

🔑 체크인 대행

🔧 긴급 수리 (전문)

🛏️ 린넨 세탁

📸 사진촬영


5. 비즈니스 모델

5.1 수익원

주요 수익: 수수료 모델

부차 수익: 프리미엄 리스팅

제3 수익: 패키지 관리 수수료

총 예상 수익 (1년차):

5.2 비용 구조

고정 비용:

변동 비용:

손익분기점: 월 ₩2,800만 + 변동비 ≈ 월 ₩4,000만 수익 필요


6. 결론

6.1 주요 혁신 요약

제주 서비스 마켓플레이스는 다음을 통해 차별화한다:

  1. 초지역 맞춤화: 10개의 제주 특화 카테고리, 9개 지역 구역, 날씨 연동
  2. 펜션 오너 집중: 업계 최초로 ₩5천억+ 시장 세그먼트를 다루는 패키지 솔루션
  3. 투명성: 교통비, 계절 요금, 할증이 포함된 항목별 가격
  4. 신뢰: 다단계 검증 시스템 (거주자 배지, 긴급 대응, 경력)
  5. 접근성: 다크모드, 모바일 우선 디자인, 이중 언어 지원 (계획)

6.2 시장 기회

제주의 서비스 마켓플레이스는 현재 서비스가 부족하다:

플랫폼은 3년 내에 1-5% 시장 점유율을 확보할 수 있는 독특한 위치에 있다.

6.3 다음 단계

즉각적인 조치 (향후 30일):

  1. 20명의 펜션 오너 인터뷰를 통한 수요 검증
  2. 10명의 파일럿 서비스 제공자 모집 (상위 카테고리당 2명)
  3. MVP 백엔드 구축 (사용자 인증, 리스팅 CRUD, 기본 검색)
  4. 시드 펀딩 확보 (12개월 런웨이를 위한 ₩1-2억)

3개월 마일스톤:

  1. 10명의 펜션 오너 + 20명의 제공자와 클로즈드 베타 출시
  2. 첫 50건의 거래 처리
  3. 80% 이상의 고객 만족도 달성
  4. 사용자 피드백을 기반으로 반복

6개월 목표: 공개 출시 + 100명의 활성 서비스 제공자 + 월 50건의 거래 + 손익분기점 궤적


보고서 종료

문서 버전: 1.0 | 최종 업데이트: 2025년 10월 13일

문의: 김단을 (Daneul Kim)
이메일: carpedkm@snu.ac.kr
웹사이트: https://carpedkm.github.io

브라우저의 인쇄 기능을 사용하여 PDF로 저장하세요.
(인쇄 대화상자에서 "PDF로 저장" 선택)